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Van Halen(앨범)

덤프버전 :



파일:밴 헤일런 로고 (2012~).png
밴 헤일런의 역대 스튜디오 앨범
밴드 결성1978년 2월 10일
1집 Van Halen
1979년 3월 23일
2집 Van Halen II
Van Halen의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파일:external/www.theuncool.com/rs937.jpg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

{{{#000,#fff 415위
2012년}}}

파일:external/www.theuncool.com/rs937.jpg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

2012년 415위
2020년 292위
@연도3@년 @순위3@위



파일:D35299F0-A94E-4256-858A-16C852ABB793.png
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명반
250위












파일:1001 Albums You Must Hear Before You Die.jpg
[[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1001|'''{{{#000,#fff 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1001장}}}''']]







파일:All-Time_Top_1000_Albums_(1st_Edition).jpg
올 타임 탑 1000 앨범

{{{#000,#fff 293위
1998년}}}

파일:All-Time_Top_1000_Albums_(1st_Edition).jpg
올 타임 탑 1000 앨범

1998년 293위
2000년 104위
@연도3@년 @순위3@위









Van Halen
파일:Van Halen(앨범).jpg
발매일1978년 2월 10일
녹음일1977년 8월 30일 - 10월
장르하드 록
재생 시간35:34
곡 수11곡
프로듀서테드 템플먼
스튜디오선셋 사운드 리코더스
레이블워너브라더스
1. 개요
2. 평가
3. 상업적 성공
4. 트랙 리스트
4.1. Side 1
4.2. Side 2
4.2.1. Jamie's Cryin'
4.2.2. Atomic Punk
4.2.3. Feel Your Love Tonight
4.2.4. Little Dreamer
4.2.5. Ice Cream Man
4.2.6. On Fire



1. 개요[편집]


미국의 헤비 메탈 밴드 밴 헤일런이 발매한 1집이다.

2. 평가[편집]


기타 연주에 대혁명을 일으킨 역사적인 명반으로[1] 메탈 역사상 가장 상업적으로 성공한 앨범이기도 하다. 이 앨범 이후 밴 헤일런은 승승장구해 1990년대 초반까지 미국에서 가장 인기있는 록 밴드의 반열에 올랐다.[2]

국내에서 상업성이 비교적 떨어질 수밖에 없는 정통 헤비메탈 장르인 탓에 타 앨범에 비해 국내 인지도는 다소 떨어지지만, 록 음악과 메탈이 완전히 분화된 기점이라는 상징적인 의미를 지니는 헤비메탈 음악을 대표하는 명반이다. 에디 밴 헤일런의 태핑 기법을 이용한 현란한 기타 연주에 미국은 물론 영국과 전 세계의 기타리스트들이 충격을 받았으며, 리치 블랙모어지미 페이지로 대표되는 영국 메탈씬의 기타 기법을 배끼던 당대의 기타리스트들은 그날로 모두 에디 밴 헤일런의 연주 기법을 카피하기 시작했다고 한다.[3] 단순한 연주 기법 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메탈의 강력한 사운드 출력은 사실상 이 앨범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그만큼 메탈 팬들에게 유명하고 찬사를 받는 앨범이다.

더욱 놀라운 점은 이 앨범은 데뷔 앨범이다. LA 교외 동네를 돌아다니며 기타 연주나 몇번 하던 동네 밴드가 녹음한 앨범이라고는 믿을 수 없는 혁신적이고 세련된 사운드를 들려준다. 따라서 록 음악 역사상 가장 강렬한 데뷔 앨범을 배출한 것으로 지미 헨드릭스Are You Experienced, 레드 제플린Led Zeppelin, 비틀즈Please Please Me, 도어즈The Doors와 더불어 항상 거론된다.

또한 글램 메탈의 색채가 비교적 적게 가미되었다고 하니 정통 헤비메탈에 더 가깝다. 그래서 Jump만 듣고 밴 헤일런을 무작정 신스 팝에 가까운 팝 메탈 밴드라고 착각하는 사람들이 이 앨범을 들어보고 충격을 먹는 경우가 종종 있는 편이다.

1집에서 탈락한 곡들은 대부분 Van Halen II에 수록되었으므로 같이 듣는 것 역시 나쁘지 않은 선택이다.

3. 상업적 성공[편집]


상업적으로도 성공해서 1998년 RIAA에 다이아몬드 인증[4]을 받았는데 이는 1984 앨범과 더불어 밴 헤일런의 정규 앨범중 가장 많이 팔린 기록이다.[5] 전세계적으로 인증 판매고로만 약 1,200만장 가량이 팔렸다. 또한, 이 앨범을 통해 본격적인 미국 서부 메탈 씬이 부흥했다는 점에 있어서도 큰 의미가 있다.

한데 아이러니한 점은 이 앨범은 밴 헤일런의 역대 스튜디오 앨범중 가장 차트 성적이 나쁜 앨범이었다는 것. 점차 입소문을 타고 1,000만장 인증 판매고를 찍었다고 할 수 있겠다. 미국 빌보드에서는 19위에 그쳤으며 영국에서는 34위를 찍고 차트 아웃하였다. 에디 밴 헤일런의 고향인 네덜란드에서만 간신히 10위로 10위권 안에 턱걸이했다. 하지만 이 앨범 이후 모든 밴 헤일런의 앨범은 빌보드 10위권 안에 들어가면서 본격적인 전설을 쓰기 시작했다.[6]

4. 트랙 리스트[편집]



4.1. Side 1[편집]



4.1.1. Runnin' with the Devil[편집]



  • 바로 다음 트랙의 곡이 너무 유명해서 묻히곤 하지만 역시나 밴 헤일런을 대표하는 곡이다. 데이비드 리 로스의 탁월한 보컬과 에디 밴 헤일런의 환상적인 기타 솔로가 자연스럽게 어우러진다.
  • 싱글컷 되었고, 미국에서 54위에, 네덜란드에서 2위에 올랐다.
  • 에디 밴 헤일런의 사후 빌보드 록 음악 부분 차트에서 다시 14위까지 올랐다.

4.1.2. Eruption[편집]


파일:기타월드 로고.png
기타 월드 선정 100대 기타 솔로 명곡
[ 펼치기 · 접기 ]

미국의 기타 및 음악 잡지 기타 월드(Guitar World)가 선정한 "가장 위대한 기타 솔로 100곡"의 명단이다.
1위Stairway to Heaven
2위Eruption
3위Free Bird
4위Comfortably Numb
5위All Along the Watchtower
6위November Rain
7위One
8위Hotel California
9위Crazy Train
10위Crossroads
11위Voodoo Child (Slight Return)
12위Johnny B. Goode
13위Texas Flood
14위Layla
15위Highway Star
16위Heartbreaker
17위Cliffs of Dover
18위Little Wing
19위Floods
20위Bohemian Rhapsody
21위Time
22위Sultans of Swing
23위Bulls on Parade
24위Fade to Black
25위Aqualung
26위Smells Like Teen Spirit
27위Pride and Joy
28위Mr. Crowley
29위For the Love of God
30위Surfing with the Alien
[ 31위 - 100위 ]

31위Stranglehold
32위Machine Gun
33위The Thrill Is Gone
34위Paranoid Android
35위Cemetery Gates
36위Black Star
37위Sweet Child O' Mine
38위Whole Lotta Love
39위Cortez the Killer
40위Reelin' In the Years
41위Brighton Rock
42위While My Guitar Gently Weeps
43위Sharp Dressed Man
44위Alive
45위Light My Fire
46위Hot for Teacher
47위Jessica
48위Sympathy for the Devil
49위Europa
50위Shock Me
51위No More Tears
52위The Star-Spangled Banner (우드스탁 페스티벌 지미 헨드릭스 커버 버전)
53위Since I've Been Loving You
54위Geek U.S.A.
55위Satch Boogie
56위War Pigs
57위Walk
58위Cocaine (에릭 클랩튼 커버 버전)
59위You Really Got Me
60위Zoot Allures
61위Master of Puppets
62위Money
63위Scar Tissue
64위Little Red Corvette
65위Blue Sky
66위The Number of the Beast
67위Beat It
68위Starship Trooper
69위And Your Bird Can Sing
70위Purple Haze
71위Maggot Brain
72위Walk This Way
73위Stash
74위Lazy
75위Won't Get Fooled Again
76위Cinnamon Girl
77위Man In The Box
78위Truckin'
79위Mean Street
80위You Shook Me All Night Long
81위Sweet Jane
82위21st Century Schizoid Man
83위Scuttle Buttin'
84위Lights Out
85위Moonage Daydream
86위Whipping Post
87위Highway 61 Revisited
88위Kid Charlemagne
89위Killing In The Name
90위Let It Rain
91위I Heard It Through The Grapevine
92위Stray Cat Strut
93위The End
94위Working Man
95위Yellow Ledbetter
96위Honky Tonk Women
97위Beyond the Realms of Death
98위Under a Glass Moon
99위Cause We've Ended as Lovers
100위Wanted Dead or Alive





  • 문서 참조.

4.1.3. You Really Got Me[편집]



작사/작곡 레이 데이비스
  • 공식 뮤직 비디오. 51초부터 나오는 곡이다. 원곡에 대해서는 문서 참조.
  • 원곡은 영국의 록밴드 킹크스로, 1964년 발매된 곡이다. My Generation의 이전에 존재했던 프로토 펑크, 하드 록 곡인데 밴 헤일런은 이를 헤비 메탈 형식으로 편곡하여 불렀다.

4.1.4. Ain't Talkin' 'bout Love[편집]



  • 문서 참조.

4.1.5. I'm the One[편집]



  • Airheads라는 영화에 커버 버전이 사운드 트랙으로 수록되었다.

4.2. Side 2[편집]



4.2.1. Jamie's Cryin'[편집]



  • 데이비드 리 로스가 곡 전체를 작사하였다. I'm the One을 싱글 B면으로 하여 1978년 5월 6일 싱글컷되었다.

4.2.2. Atomic Punk[편집]




4.2.3. Feel Your Love Tonight[편집]




4.2.4. Little Dreamer[편집]




4.2.5. Ice Cream Man[편집]



작사/작곡 존 브림
  • 초반에는 원곡대로 재즈 록 느낌이 나지만 1분 30초 가량부터 점점 분위기가 전환되더니 완전히 메탈 풍의 곡으로 마개조되었다. 편곡 버전이 더 히트쳐서 오히려 원곡이 묻힌 경우다.

4.2.6. On Fire[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4 20:44:12에 나무위키 Van Halen(앨범)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혹자는 1차 기타 대혁명을 지미 헨드릭스Are You Experienced라고 하고 이 앨범을 2차 대혁명이라고 하기도 한다. 그리고 3차 대혁명은 잉베이 말름스틴Rising Force.[2] 사실 레드 제플린이나 메탈리카 등과 더불어서 지금도 세대 불문하고 미국인들에게 가장 인기있는 록밴드이기도 하다.[3] 이는 또다른 전설적인 기타리스트 슬래시가 증언한 내용이다.[4] 1,000만장 판매[5] 미국 역대 앨범 판매 순위 70위에 해당한다. 참고로 1984는 조금 아래인 76위. 참고로 1위는 이글스의 Their Greatest Hits (1971–1975).[6] 사실 아무 인지도 없는 동네 록 밴드의 데뷔 앨범 치고 19위를 하는 것은 매우 선전했다고 볼 수 있다. The Piper at the Gates of Dawn이나 Led Zeppelin 등 역사상 가장 위대한 데뷔 앨범이라고 불리는 앨범들도 대부분 자국 차트 20위권 안에 들어갔다.